반응형 근성장281 분할 무분할 운동 뭐가 더 근성장에 더 좋은 방법 많은 분들이 운동을 하면서 고민하는 것이 분할 운동과 무분할 운동입니다. 무분할 운동을 하면 전신에 자극이 안 되는 것 같고 분할 운동을 하면 쉬는 날 다른 부위를 운동 안 하니 조금 찝찝하기도 합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하겠습니다. 분할 운동이 2 분할부터 5 분할 6 분할까지 있지만 평균적으로 많이 하는 3 분할 운동을 실험으로 하였습니다. 분할 무분할 운동 근성장 실험 실험은 운동 경력이 5년 이상 되는 20명의 남성이 주 3회 8주간 훈련을 하였습니다. 10명은 무분할 운동을 하였고, 남은 10명은 가슴, 등/ 하체/ 어깨, 팔로 나눠서 3 분할 운동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한 부위당 3가지 운동을 진행하였습니다. A팀은 분할 운동으로 가슴, 등/ 하체/ 어깨, 팔로 .. 2021. 12. 31. 초보자 3대 운동을 해야하는 이유 머신 운동 단점 복합 다관절 운동을 위한 최고의 운동이라 불리는 3대 운동 초보자는 물론 헬창들로 거의 필수로 이야기하는 운동으로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스쿼트로 구성된 이 3대 운동은 너무나도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자가 3대 운동을 하기에는 너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이 머신 운동을 합니다. 그렇다면 머신 운동을 하고 3대 운동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초보자가 3대 운동을 어려워하는 이유 먼저 복합 다관절 운동이라는 불리는 대표적인 3대 운동을 간단하게 알아보면 운동을 수행하면서 관절 하나하나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자세를 잡는 것부터가 어렵습니다. 이런 필요한 자세들을 헬스 용어로 간단하게 이야기하겠습니다. 힙 힌지- 엉덩이 쓰기 견갑 후인 하강- 날개뼈 움직이기 패.. 2021. 12. 27. 광배근 운동 대원근 운동, 등 넓어지는 법 이전 포스팅에서 광배 운동에 효과적인 각도와 등의 상부 하부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이해하고 용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이전 포스팅을 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하여 확인하신 후 다시 본 포스팅을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광배 운동 신전 먼저 광배 운동을 위한 두 가지 행위 신전을 만들어내는 운동에는 바벨 로우, 시티드 로우, 풀 오버 같은 운동이 있습니다. 풀업과 렛 풀다운의 경우 좁은 그립을 통하여 자극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팔의 각도를 45도로 하여 운동을 진행할 경우 상부 광배에 큰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팔의 각도가 120도가 넘어서면 하부에만 미세한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팔의 각도를 적당히 하여.. 2021. 12. 26. 가자미근, 비복근 운동 종아리 근육 키우기 종아리 근육을 키우기 위해서는 종아리 근육의 해부학을 알고 정확한 운동법을 알아야 합니다. 종아리 근육은 비복근이라고 불리는 두 덩이의 근육과 가자미를 닮은 가자미근이 있습니다. 특히 가자미근의 근육은 종아리 전체에 많은 부피와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자미근을 발달시켜야 합니다. 이런 가자미근과 비복근을 효율적으로 키우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가자미근, 비복근 근육의 비율과 해부학 -종아리 근육의 부피 비율 가자미근 52%, 비복근 중 내측근 32% 비복근 중 외측근 16% - 종아리 근육 면적 비율 가자미근 62% 비복근 중 내측근 32% 비복근 중 외측근 12% 우선 비복근의 경우는 발뒤꿈치 아킬레스건을 시작으로 내측근, 외측근 모두 허벅지 뼈 뒤쪽에 붙어 있습니다. 가자미근의 경우는 아.. 2021. 12. 26. 디로딩 뜻 하는법 고강도 운동 매일 하면 효과 없는 이유 헬스를 인관성 있게 진행하면 근성장이 나타나고 우리의 신체는 변화합니다. 이런 신체의 변화 근육의 성장에 항상 필요한 것이 바로 점진적 과부하입니다. 그런데 이런 점진적 과부하는 매일 운동을 하면서 더 이상 운동을 진행하기 어려울 정도의 자극을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극을 받은 우리의 몸은 다음날 바로 회복하는 것이 아닙니다. 회복이 덜된 우리의 신체가 또 같은 자극이 들어온다면 결국 피로가 쌓이게 되고 근육은 성장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디로딩입니다. 바로 이 디로딩에 대한 설명을 하고 효과적인 운동법에 이야기하겠습니다. 디로딩 고강도 운동을 매일 하면 효과 없는 이유 feat. 분할 운동 우리가 운동을 통해 근육에 자극을 주면 근육은 상처가 생기고 우리가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을 섭취.. 2021. 12. 22. 저중량 고반복 근비대 횟수 고중량을 해야하는 이유까지 지난 포스팅에서 저중량 고반복으로도 충분히 근성장을 이뤄낼 수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저중량의 개념이 각자마다 다르고 고반복의 개념도 각자마다 다릅니다. 고중량의 경우는 그냥 내가 1번 들 수 있는 1RM에서부터 측정하면 되지만 저중량은 확인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본인에게 맞는 저중량의 무게와 횟수를 알아보고 고중량을 왜 해야만 하는지 이야기하겠습니다. 그전에 저중량으로 근성장을 이뤄내고 싶은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포스팅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저중량 고반복 근비대 횟수와 무게 대부분 15~ 20회 정도의 이상이 되면 고반복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를 평균적으로 구해보면 1RM 즉 자신이 한 번 들 수 있는 무게에서 점점 무게를 낮췄을 경우 15~ 20회 정도 할 수 있는 무게가 1RM과 .. 2021. 12. 21.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