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동223 리프팅 벨트 허리 보호 헬스 벨트 효과 없는 이유 데드리프트, 스쿼트등의 운동을 진행하면서 고중량으로부터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리프팅 벨트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막상 사용해보면 숨만 막히고 허리는 보호가 되지 않는 것 같아 뭔가 잘 못된 것 같다고 느낍니다. 이번에 리프팅 벨트의 정확한 사용 방법과 허리 보호에는 필요가 없는 이유를 설명하겠습니다 리프팅 벨트 일단 결론을 이야기하면 리프팅 벨트가 허리의 안정성을 높여주지만 보호해주는 역할은 없습니다. 손목 보호대나 무릎 보호대의 경우 관절 바로 위에 둘러서 보호하지만 복부의 경우는 하나의 척추와 여러 장기들로 감싸져 있어서 그냥 배에 두르는 것뿐입니다. 결국 척추가 지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리프팅 벨트를 착용한다고 척추가 교정되는 것도 아니고 무리가 안 가는 것도 아닙니다. 결국 이런 리프팅 벨트의 .. 2022. 2. 8. 유산소 운동 시간 방법 매일 하는 것보다 효과있는 한가지 방법 우리가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과정에서 부위를 분할하여 운동을 진행하고 일주일 단위로 나눠서 몇 번을 운동하는지 정해놓고 무산소 운동을 진행합니다. 그렇다면 유산소 운동의 경우는 몇 번의 운동 빈도를 가져야 하고 얼마큼의 운동 강도와 운동 시간으로 진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유산소 운동 시간 방법 유산소성 운동에 대한 운동 빈도와 강도 시간을 측정하여 최소한의 운동량으로 유산소 운동 능력이 유지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실험방법: 정해진 운동 빈도와 시간 그리고 강도로 훈련을 시킨 그룹에서 운동 빈도와 강도 시간을 조금씩 줄여나가면서 얼마큼의 유산소 운동을 진행해야 능력이 유지되고 감소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운동 빈도: 운동 빈도의 경우 주 1회를 하든 주 5회를 하든 산소 .. 2022. 2. 7. 최소 운동 필요량 근육 유지 근손실 방지 방법 근육을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점진적 과부하와 일관성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운동선수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를 가고 직장을 다니기에 일관성 있게 운동을 하기도 점진적 과부하를 적용시키기도 힘듭니다. 그래서 과연 근력과 근비대 유지를 위한 최소 운동량을 알아보겠습니다. 최소 운동 필요량 실험은 운동선수들과 군인들이 신체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운동 처방을 쓴 논문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실험 방법은 운동 기간, 빈도, 볼륨, 강도를 일관성 있게 진행하다가 빈도와 볼륨 강도를 다양하게 줄여서 근육 성능의 비교를 분석하였습니다. 16주간 주 3회 3세트 8~12RM 10주간 주 2회 3세트 4~ 12RM 9주간 4주 4회 자발적 최대 수축으로 진행 그리고 32주간 운동을 안 하는 그룹과.. 2022. 2. 6. 심혈관 질환 검사 방법 집에서 푸쉬업으로 측정하자 미국 심장 협회에서는 심혈관 질환이 신체 활동 부족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 가서 심혈관 질환을 측정하고 예방하려고 하지만 이런 방법은 시간과 돈이 많이 들어 일반적으로는 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하버드에서 심혈관 질환을 검사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실험과 논문 적용 법을 공개하였습니다. 심혈관 질환 검사 일상 속에서 심혈관을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푸시업입니다. 실험대상: 39.6세의 1104명의 소방관 실험방법: 소방관들에게 푸시업을 진행하여서 10회 이하, 20회 이하, 30회 이하, 40회 이하, 41회 이상으로 나눠서 심혈관 분석 실험 결과: 41회 이상 푸시업을 진행한 그룹이 10회 이하로 한 사람들보다 심혈관 질환 발생률이 무려 96%.. 2022. 2. 6. 헬스 스트랩 사용법 단점 무조건 착용한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스트랩의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스트랩은 우리가 고중량의 무게를 안전하게 들기 위해 이런 중량을 버티기 위한 전완근의 악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래서 스트랩을 사용한다면 안정적으로 높은 무게를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스트랩에도 단점이 있는데요. 이번에 언제 스트랩을 사용하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헬스 스트랩 단점 헬스 스트랩에 앞서 전완근 악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런 점이 장점이자 단점이 되는데, 바로 스트랩 사용은 전완근을 보조하기에 전완근 운동이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중량을 조금 낮춰 스트랩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전완근에 효과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동근 협동근 데드리프트를 하는 경우 둔근에서부터 힘이 전달되어.. 2022. 2. 5. 목통증 원인 승모근 운동으로 예방하기 목 통증의 원인을 살펴보면 상부 승모근의 과활성화로 인한 타이트함이 원인입니다. 그래서 상부 승모근을 풀어주면 잠시 시원하지만 다시 통증이 몰려옵니다. 그래서 마사지가 아닌 확실한 방법으로 상부 승모근을 느슨하게 하고 강화시켜야 합니다. 목 통증 원인 목 통증의 원인이 상부 승모근의 과활성화인데, 이런 과활성의 원인은 바로 잘못된 자세 즉 거북목입니다. 이런 구부정한 자세로 오래 있다면, 근육은 과활성화되고 팽팽해지는 것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자세로 만들려고 해도 이미 늘어나버린 승모근이 통증을 유발하여 오래 유지하기도 힘듭니다. 그래서 이를 운동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입니다. 상부 승모근의 과활성화는 결국 하부 승모근의 근육이 늘어남이 원인인데, 이런 하부 승모근은 날개뼈를 위쪽으로 움직여 팔을 .. 2022. 2. 4.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38 다음 반응형